[경기일보] 발암물질 ‘범벅’… 학교 놀이터가 위험하다

어린이들의 건강과 밀접한 학교, 놀이터에 깔린 푹신푹신한 탄성바닥재에서 발암물질이 대거 검출되었습니다. 탄성포장재로 된 바닥재가 넘어져도 다치지 않고 달리기를 할 때도 쿠션감이 있어 충격이 덜해서 좋아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실은 이렇게 많은 유해물질이 들어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비바람에 마모되면 엄청난 양의 미세플라스틱으로 쪼개지겠죠. ㅠㅜㅠ

경기일보의 기사 보도 내용 보면 가슴팍이 퍽퍽해집니다.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탄성포장재 놀이터를 시공한 경기도 초등학교·유치원은 총 756곳에 달합니다. 이 중 초등학교는 148곳, 유치원은 608곳… 전국으로 따지면 얼마나 더 많을까요. 게다가 이 예산은 모두 세금으로 지출됩니다. 하지만 미세플라스틱으로 뜯어지고 나면 또 뜯고 폐기하고 또 깔겠죠…. (그럼 유해물질 또 나오고… 흐미…)

이는 폐타이어를 활용한 탄성포장재의 문제인데요. 어린이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1급 발암물질과 유해 물질이 다량 검출됨에 따라 해외에서는 탄성포장재 사용을 수년 전부터 지양하고 있습니다.

인공잔디나 탄성포장재를 깔아야 할까요? 낡기 때문에 자주 교체해야 하고, 플라스틱 덩어리고 비바람에 노출되는 외부환경에서 쉽게 미세플라스틱 오염원이 됩니다.

모레가 지저분하고 위험하다고 하지만, 실은 모레와 흙을 비위생적이라며 몰아내고 자꾸만 인공물로 환경을 덮으려 하는 우리 태도가 유해물질 범벅인 세상을 만드는 것이 아닐까요.

경기일보 단독 보도, 내용이 좋으니 꼭 읽어보시길!

최근 많은 놀이터의 바닥이 탄성포장재로 시공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탄성포장재 놀이터를 시공한 경기도 초등학교·유치원은 총 756곳에 달한다. 이 중 초등학교는 148곳, 유치원은 608곳이다. 정부는 충격 흡수가 안 돼 뇌진탕 등 낙상사고 위험이 있는 데다 위생 문제도 불거진 모래 놀이터 대신 탄성 있는 포장재로 변경, 아이들이 안전한 곳에서 마음껏 뛰어놀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었지만 경기일보 취재 결과 도내 초등학교 어린이 놀이터에서 1급 발암물질 등 유해성 물질이 다량 검출됐다.

PAHs(다핵방향족탄화수소)는 불완전 연소로 생성되는 발암성 물질로, 자동차 배기가스나 담배 연기에서 발생하기도 하고 화재 현장이나 휘발유가 연소하는 과정에서 생성되기도 한다. 특히 이 중에는 1급 발암물질도 포함된다.

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폐암, 피부암, 생식 장애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경기일보 기사 2024. 7.1 K-ECO 팀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40630580186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40630580229

구독하기
알림 받기

0 Comments
오래된 순
최신순 최다 투표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보기

다른 볼거리

보고서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한겨레신문] 버린 옷에 추적기를 달았다 다 아는 내용이라도 형식이 달라지면, 데이터와 팩트가 근거하면 이렇게 충격적인 사실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새 옷이 사고 싶을 때마다, 헌

자료

[슬슬라잎]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필요한 것은

슬슬라잎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확대를 위해 제도적, 사회적 개선사항을 잘 짚은 글. 화장품 리필 스테이션, 대체 뭔일?  리필스테이션의 과거 한때,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4년전쯤, 야심차게 출발했던 화장품 리필스테이션들- 제로웨이스트 활동의 일환으로

플라스틱프리
뉴스레터 구독하기

새로운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구독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